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민화의 민중 신앙, 생활 문화에 반영된 민속학적 해석

by minwhaart 2025. 7. 8.

민속학적 해석은 미술사적 분석이 주로 미술 작품의 형식과 양식에 주목하는 것과 달리, 그림이 만들어지고 사용된 맥락과 의미 해석에서 누가 그렸는지, 민중신앙은 어떤것들이 있는지, 생활문화의 연결 및 민속학적 해석의 예시등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1. 민속학적 해석이란?

 

일상적 삶, 전통적 신앙, 구비전승 등을 바탕으로 문화유산을 해석하는 접근입니다.

민화는 서민의 삶 속에서 발생하고 사용된 회화이므로, 회화의 맥락, 기능, 상징, 믿음 등을 중심으로 분석합니다.

2. 민화는 누가, 왜 그렸는가?

 

제작자는 전문화원이 아닌 무명화공, 또는 지역 장인, 승려 등이 그렸습니다. 소비자는 상민, 농민, 중인계층 등 일반 서민들이었고, 그림을 그린 이유는 단순한 장식이 아니라 액막이, 자녀 출세기원, 질병퇴치, 복기원 등 다양한 민속적 목적을 가지고 있습니다.

3. 민화에 반영된 민중신앙은 어떤것이 있었을까?

 

1) 벽사 신앙 (귀신 쫓기)의 그림 호랑이 : 강한 존재로 귀신이나 나쁜 기운을 쫓는 수호적 존재를 상징합니다. 용, 도깨비, 눈모양의 무늬 등은 주술적 기능을 합니다. (사용 예: 집안대문, 벽에 붙이거나 병풍으로 사용합니다)

2) 길상 신앙 (복과 행운 기원)의 그림 까치, 복숭아, 박쥐 등은 "운이 좋을것이라는 길복(吉福)의 상징". 특히, 박쥐(蝙蝠)의 경우 한자 발음이 복(福)과 같아서 복을 부른다는 말이 있다. 십장생도의 경우 해 산 물 거북 학 사슴 등은 장수와 건강의 상징이기도 합니다.

3) 자식 출세 교육 신앙의 그림 책가도 : 학문, 입신양명, 유교적 이상 실현의 표현이며, 문자도는 효(孝), 충(忠), 인(仁) 등의 덕목을 그림 문자로 형상화하여 자녀 교육용으로 사용하였습니다. 영수화(靈獸畫)의 경우는 자손번창, 다복을 기원했습니다.

4. 민화와 생활문화의 연결

 

1) 공간적 활용 : 병풍, 벽지, 장지화(牆紙畫), 천장화, 가구장식 등 실내 공간을 꾸미는 실제 기능적 활용과. 특별한 날인 설날, 혼례,출산 등에 맞춰 그림을 걸거나 교체하였습니다.

2) 계절적 의례적 기능 : 세화(歲畵): 정초에 집안에 붙여 복을 기원하고 액운을 막는 부적과 같은 기능과 혼례화, 회갑화, 백일잔치용 그림 등 행사에 맞춰 사용하였습니다.

3) 시민의 미의식 : "화려하고 좋은 게 복이다" 라는 의식이 있어 원색적, 대담한 구성이 민중의 미적 감각으로 반영되었숩니다. 또한 "사실성" 보다는 "상징성"을 중시하여 도식화된 구도가 대부분이었습니다.

5. 대표 민화의 민속학적 해석 예시

 

민화 유형 상징/기능 민속학적 의미
호작도 호랑이 + 까치 벽사 기능 + 권위 풍자 + 길조
십장생도 해, 구름, 산 등 10가지 장생물 장수, 건강, 영생의 기원
책가도 책, 화병, 문방사우 자식의 출세와 교육적 염원
문자도 효 충 예 지 등의 글자 유교 도덕 교육 + 시각적 흡입력
화조도 꽃과 새 봄 풍요 부부의 화합 등 일상적 기원
까치 호랑이 까치: 기쁨, 호랑이: 보호 민속적 벽사 + 해학적 의미

 

책가도/ 십장생도 (개인작품이므로 불펌)

 

6. 민속학적 해석의 핵심 논점

 

민화는 일상 속 믿음의 시각적 구체화입니다.

비전문 작가의 집단적 전승, 민중적 염원, 의례 및 세시풍속과 밀접히 연결되었습니다.

따라서 민화는 회화일 뿐 아니라, 문화유산이자 무형의 신앙자료이기도 합니다.

7. 결론

 

민화는 단순한 장식 그림이 아니라, 민중의 세계관, 신앙 체계, 생활 양식을 반영한 시각적 민속입니다.

그 안에는 삶의 소망, 불안의 해소, 미래에 대한 기원이 담겨 있으며, 이는 민속학적 접근을 통해 풍부하게 해셕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