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민화와 현대 민화의 굿즈(Goods)

by minwhaart 2025. 7. 15.

현대 민화는 과거와 다르게 더 이상 "과거의 민중화"에 머무르지 않고, 굿즈(Goods), 전시(Exhibitions),캐릭터(Character) 상품 등으로 다양하게 재해석되어 생활문화와 디자인, 콘텐츠 산업 속에서 활발히 활용되고 있습니다.

이에 현대 민화의 굿즈와 현대 민화 전시, 현대 민화 캐릭터등 분야별로 상세히 소개드리겠습니다.

1. 현대민화 굿즈

 

민화 굿즈는 민화의 전통적인 그림을 활용하여 현대적인 디자인으로 제작된 소품이나 상품입니다.

전통미와 현대감각이 조화를 이루며, 한국적인 정서를 담고 있어 관광객 뿐만아니라 국내 소비자들에게도 인기를 얻고 있습니다. 특히, 일상에서 사용 가능한 소비재로 재 디자인하였으며, 민화의 도상(호랑이, 책가도, 문자도 등)을 감각적으로 단순화, 색감을 변형하여 젊은층도 부담 없이 접할 수 있도록 귀여움, 해학성, 트렌디함을 강조하였습니다.

예를들어,

1) 호랑이 파우치, 열쇠고리 - 담화당에서 제작, 호작도를 기본으로 복(福), 벽사(辟邪) 상징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했습니다.

2) 문자도 머그잔 - 디자인하우스에서 제작, 효(孝), 충(忠)의 문자도를 새겼으며 전통적 윤리기호를 감성 메세지로 전환하였습니다.

3) 십장생부채세트 -국립민속박물관 (굿즈샵)에서 제작, 해,학,거북이등 웰빙 장수의 상징을 여름용 생활소품으로 사용했습니다.

4) 책가도 노트패드 - 서울공예박람회 참가작이며, 책가도를 배경으로 학문과 자기계발 상징을 스테이셔너리로 활용하였습니다 이 굿즈들의 디자인 포인트는 전통의 고전미 + 현대의 컬러감 + 실용성을 바탕으로 만들었다는 점입니다.

2. 현대민화 전시

 

현대의 전시회는 민화를 단순히 '전통화'로 재현하는 것을 넘어서 동시대 예술 담론, 대중 참여형 체험 전시, 디지털 전환 기반 콘텐츠로 확장하고 있습니다.

과거에는 단순히 보기에서 현대는 이야기하기로 전시회 성격이 바뀌고 있으며, 회화 + 미디어 + 체험등의 융합 전시회가 강화되고 있습니다.

3. 현대민화 캐릭터와 굿즈

 

현대 민화는 민화속 상징물 (호랑이, 까치, 꽃, 문자 등)을 감성적, 귀여운 캐릭터로 변환시켜 애니메이션, SNS, 이모티콘, 굿즈 디자인에 널리 사용하고 있습니다.

이는 민화의 기호성이 개성과 스토리로 진화하고 있다고 볼수 있습니다. 대표사례로는 (사)한국민화협회 서울성동지회 회원들의 개개인의 그림으로 머그컵, 컵받침, 우편봉투 등 다양한사례를 볼수 있습니다.

 

* 현대 민화의 굿즈

1. 전통갓 열쇠고리 - 국립중앙 박물관

2. 꽃과 나비 종이필통 - 국립중앙 박물관

3. 기타 : 냉장고 자석, 에코백, 보석함, 부채, 머그잔, 우편봉투 등 다양한 소품재료가 많습니다.

우편봉투와 머그컵(개인소장품으로 불법복사금지)

 

4. 민화 굿즈의 특징

 

1. 전통과 현대의 결합 : 옛 그림이지만 현대적인 감각의 디자인으로 재 탄생하였습니다,

2. 상징성과 이야기 : 각 민화는 복, 수명, 부귀 등의 의미를 담고 있어 선물용으로 좋습니다.

3. 컬러풀한 매력 : 민화 특유의 강렬한 색감이 굿즈에 잘 녹아들어 시각적으로 매력적입니다.

4. 관광기념품으로 인기 : 외국인들이 한국 전통문화를 간직할 수 있는 아이템으로 많이 구매합니다.

5. 결론

 

최근에는 Z세대와 MZ세대를 타깃으로 한 캐릭터 민화, 감성적인 미니멀 민화, 디지털 민화, NFT, AI 민화 스타일 필터 등도 등장하면서 굿즈 범위가 점점 넓어지고 있습니다.

민화 굿즈는 전통 예술을 일상 속 예술 경험으로, 디지털 기술과 결합된 라이프스타일 산업으로 진화하고 있으며, 향후 소비자는 단순 소유에서 벗어나 경험, 참여, 자아 표현의 가치를 중심으로 민화 굿즈를 소비하게 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또한, 민화 굿즈는 전통 민화가 현대 소비자들의 일상 속에 자연스럽게 스며들게 해 문화적 아이덴티티 강화산업화를 촉진하고 있으며, 교육 디자인 전시 콘텐츠 융합을 통해 현대 민화는 단순한 전통예술을 넘어 글로벌 콘텐츠 자산으로 자리잡고 있습니다.